본문 바로가기

공룡이야기

육식공룡2편 : 데이노니쿠스( Deinonychus)

@ www.mozaweb.com

 

 

데이노티쿠스는 몸길이 3m 정도에 높이는 1.7미터 무게 73KG애 속하는 비교적 작은 공룡이라고 볼수 있다. 수각류 중에서는 말이다.  그러나 이 공룡은 육식이다.  

 

서식지 : 북아메리카 미국 몬타나, 와이오밍 지역으로 추정된다.

살았던 시기는 1억 1500만년전 ~ 1억8천만년전 백악기 전기 공룡이라고 본다. 

학명의 의미가 무서운 발톱이다. 발톱이 정말 위허할 정도로 날카롭기 때문이다. 

 

특징

 Deinonychus 는 모든 수각류 공룡 과 마찬가지로 두 발로 걷습니다.

주요 살인 장치는 각 발의 두 번째 발가락에 13cm (5 인치) 길이의 큰 낫 같은 발톱이었습니다. 가늘고 뻗은 꼬리는 뼈대 묶음으로 묶여 있었다. 꼬리 척추의 이러한 연장은 먹이를 습격하거나 공격했을 때 동물의 균형을 유지 하는 데 이상적

입니다. 

 

18cm에 달하는 커다란 뒷발톱을 가지고 있어 과거에는 이것으로 먹이의 가죽을 갈랐을 것으로 생각했지만, 모의실험 결과 돼지가죽에 구멍만 뚫는 수준으로 그렇게 효과적인 무기는 아니었지만 발톱으로 나무를 타고 올라가 뛰어내리며 기습할 때 사용하거나 큰 먹이에 발톱을 박아넣고 매달려 공격할때, 작은 동물들을 포획할 때 유용하게 쓰인 것으로 생각된다. 살상력이 모호한 갈고리 발톱 대신 치악력이 꽤 강한 동물이다. 처음 연구가 이루어진 2005년엔 앨리게이터의 15%에 지나지않을것이라는 결과가 나왔지만, 2010년 오클라호마주립대학교의 폴 지냑(Paul Gignac)교수와 연구팀이 테논토사우루스 뼈에 난 이빨자국 등을 토대로 분석하자 4,100 ~ 8,200 뉴턴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쥐라기에 서식한 알로사우루스보다 더 무는 힘이 강하다.

 

데이노니쿠스는 고기를 먹는 육식공룡이다. 이들은 무리를 지어 사냥했기 때문에 어떤 먹이든지 사냥할 수 있었다. 또한 뒷다리의 두 번째 발가락에 긴 갈고리처럼 생긴 발톱을 이용하여 사냥을 하였고 이 긴 발톱은 베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먹이감을 찔러 죽이기 위해 사용되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데이노니쿠스는 날씬한 새처럼 생긴 다리로 걷는다. 이런 다리와 가벼운 무게로 봤을 때 빠르게 달릴 수 있었던 것이 틀림없다. 달릴 때나 걸을 때는 큰 두 번째 발가락이 방해가 되기 때문에 위로 들어 다른 발가락에 걸었다

 

 

야생에서는, 

 

Deinonychus의 삐걱 거리는 발톱을들을 때까지 종종 너무 늦습니다. 우량한 사냥꾼들은 숨어있는 곳에서 뛰어 내려 먹이를 노립니다. Deinonychus는 민첩한 등반가이기도합니다. 벽에 난간을 뛰어 넘어 기다릴 수있는 유리한 지점을 찾으십시오.

배고픈 Deinonychus는 두려움이 없으며 자신보다 훨씬 큰 먹이를 사냥하여 낫 모양의 발톱으로 공룡의 등을 쥐고 희생자가 죽기 전에 먹이를 먹기 시작합니다. 육류를 신선하게 좋아하지만 다른 음식이 없다면 Deinonychus는 시체를 청소하지 않습니다.

 

데이노니쿠스의 발톱

 

앞발의 데이노니쿠스가 많은 등의 형성 alula 매우 가벼운 거의 깨지기 공압 구조 현대 조류 (수동 숫자는 날개 깃털의 기본을 형성하는 융합). 지골은 각각 작고 굽은 발톱으로 길쭉하게 늘어났다. 고생물학 자들은 이러한 고리 모양의 발톱 덕분에 Deinonychus 가 나무를 등반 할 수 있다고 추측합니다 .

원래 Deinonychus 와 그 매니 파토 란 친척들은 발톱을 사용하여 먹이의 배를 찢어 버렸다고 생각했습니다 . 지골 발톱이 배를 리핑하는 것보다 기관을 자르는 데 더 적합 해 보이기 때문에이 이론은 이제 거부되었습니다. 발톱은 현대 랩터 발톱과 유사한 얇고 칼과 같은 구조였으며, 배꼽을 찢는 것은 위를 통해 얇게 썰기 위해 훨씬 더 넓고 더 큰 발톱을 요구 합니다. 위 근육. 고생물학 자들은 또한이 발톱들이 짝짓기 디스플레이 나 짝짓기 시즌 동안의 싸움에 사용되었다고 제안했습니다.

 

지금의 새와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을까?

1964년, 미국에서 고생물학자 존 오스트롬에 의해 데이노니쿠스 몇 마리가 테논토사우루스를 습격한 것으로 보이는 화석이 발견되기도 하였는데, 데이노니쿠스는 수각류 공룡으로 골격구조가 새와 매우 유사하다는 것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었다. 이 발견으로 인해 오스트롬은 새가 정말로 공룡으로부터 진화한 것이라고 주장하게 되었다. 오스트롬이 새와 공룡을 연결시키게 한 것은 데이노니쿠스였지만 그와 사실상 마찬가지로 새와 유사한 공룡인 벨로키랍토르 등은 수십 년 전에 알려져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새와 연결시킨 사람은 없었다. 오스트롬의 발견 이후 새가 공룡으로부터 진화했다는 생각은 고생물학자들 사이에 지지를 받기 시작했고 오늘날에 와서는 거의 대부분 수긍하고 있다. 분지학과 같은 새로운 방법론과 여러 '깃털 공룡'의 발견이 이 관계를 더 확실하게 해주었다.

 

데이노니쿠스의 또다른 포인트

Deinonychus 의 뇌는 가장 강력한 무기 일 수 있습니다. 나머지 머리와 비교할 때, 뇌는 비례 적으로 가장 큰 매니 파토 란 중 하나였습니다. Witmer et al.에 따르면, 의사 소통에 사용 된 뇌의 일부는 Deinonychus 가 음성으로 의사 소통 할 수있을만큼 충분히 컸습니다 . 현대의 새들은 다른 소리를 사용하여 다른 감정을 표현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위험이 다가오고 있음을 경고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전화합니다. Deinonychus 는 사냥, 동료 사냥꾼을 보호하고 전략을 공유하면서 의사 소통을 할 수있었습니다.